2024.01.15 - [분류 전체보기] -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업준비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업준비
정확하게 2010년부터 2022년까지 횟수로 13년 동안 겪었으며, 결과적으로 "나"라는 사람에게 있어서 마음가짐과 생각이 얼마큼 중요한지 뼈저리게 알게 해 준 보상심리에 대하여 이 증상이 발생하
universe.dadasis.com
2024.01.16 - [분류 전체보기] -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2 - 회사생활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2 - 회사생활
2편도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편 "취업준비"편을 먼저 보고 오시면 더 읽기 좋으실 겁니다. 2024.01.15 - [분류 전체보기] -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업준비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
universe.dadasis.com
2024.01.16 - [분류 전체보기] -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3 - 회사생활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3 - 회사생활
2024.01.15 - [분류 전체보기] -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업준비 우울증 보상심리 극복 소설 1 - 취업준비 정확하게 2010년부터 2022년까지 횟수로 13년 동안 겪었으며, 결과적으로 "나"라는 사
universe.dadasis.com
매일같이 두근거리니 무언가에 집중을 할 수가 없었다. 마치 몸을 막 움직이지 않으면 죄를 지은 것처럼 불안하고 그 팀장의 말은 법처럼 어기면 안 될 것 같고 보고서를 만들 때면 5~10분마다 반복되는 독촉에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공사팀에 갔으면 공사가 잘되는지 현장이 어떻게 변했는지 관리하고 알아야 하는데 매일 민원서류를 만드느라 공사에 대해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그런 다음엔 너는 현장도 모르면서 뭘 하냐는 비판만 해댔고 다시 자신이 현장 가르쳐줄 테니 같이 나가보자며 운전을 시켰다. 차에서 담배는 기본이었고 그 시간 내내 자기 밑에서 버텨야 네가 클 수 있는 거라며 동기형과 나를 비교는 물론 설교가 계속되었다.
지금 같아선 왜 그러냐고 아무리 팀장이라도 너무한 것 아니냐며 한바탕 할 것 같은데 그때는 왜 그랬는지 무조건 내 감정을 억누르는 것 밖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생각했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은 알 것이다 고충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고충은 표면적으론 비밀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암암리에 걔가 걔구나 하면서 모두 알게 된다. 결국 고충을 한 사람만 다른 부대로 전출을 가거나 공식적인 따돌림, 괴롭힘이 이어진다. 학창 시절에 교유관계가 좋았다. 친구가 많다는 것은 여기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냥 힘들어서 힘들다고 얘기한 것뿐인데 그걸로 나의 평판이 좌우된다. 잘 참으면 엘리트 못 참으면 관심병사. 결국 나는 참는 걸 선택했고 그런 나날들이 이어졌다.
심장이 두근거린 지 몇 달이 지났나?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졌다. 이대로는 못 살겠다. 그만둬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런데 계속 머릿속에 걱정이 앞섰다.
'지금 나가서 다시 취업할 수 있을까? 부모님도 이렇게 좋아하시는데... 어떻게 얘기하지...'
생각해 보니 졸업학점도 3.2밖에 되질 않았다. 요즘은 토익도 900 돼야 한다는데... 토익도 755점에 다시 공부해야 한다.
'하...'
결국 이 생각이 무한으로 머릿속에서 돌다가 결국은
'조금만 더 있어보자... 이 팀장만 버텨보자...'로 귀결되었다.
이즈음 해서 두 번째 증상이 찾아왔다. 첫 번째는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이었는데. 그러다 보니 잠을 쉽게 잘 수 없었고 잠에서 잠깐 깨더라도 다시 잠을 자기까지가 너무 힘들었다. 머릿속엔 심장 뛰는 소리만 들리고 왜 이러지 왜 이러지만 반복했다.
아침 6시 30분 여느 날과 같이 알람이 나를 깨운 어느 날.
정말 일어나서 사무실에 가기가 죽기보다 싫었다. 내 삶의 모든 것이 원망이었고 지금 처한 현실은 절망적이었다. 현장 가설 컨테이너 숙소에서 그것도 동기형과 함께 지내고 일주일에 3~4번은 회식에 아침엔 술에서 깨 겨우 출근하는 이 나날들이 정말이지 죽고 싶을 만큼 싫었다.
화장실에서 씻고 있는데 눈물이 났다. 동기형은 나보고 먼저 씻으라며 10분을 더 누워있는 것도 꼴 보기 싫고, 내가 이 회사에 소속되어 있는 것도 싫었다. 정말 죽기보다 싫었다. 흐느껴 울진 않았지만... 마음속에선 그렇게 울고 있었다.
잠을 잘 자지 못하니 나에게 잠이 점점 더 중요해졌다. 평일엔 출근을 해야 하니 어쩔 수 없지만 주말에 집에 올라왔을 때면 오전 9시, 10시를 떠나서 11시, 12시 어느 날은 오후 2시까지 자는 날도 있었다. 잠에서 깬 건 7시 즈음이었던 것 같은데...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며 그때까지 버틴 것이다. 매일같이 회식에 술을 마셔서 피곤하기도 했지만 눈을 뜨기 싫어서 잠을 잤다는 표현이 그 상황에는 더 적합한 것 같다.
여자친구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안 그래도 지방에 가서 일주일에 한 번 보는데 집에 와서는 매일 잠만 잔다며 나는 나무랐다. 주말도 격주로 이틀을 쉬기에 하루만 쉬는 날은 오후에 일어나 잠깐 보고 다음날 새벽에 내려가려면 피곤하다는 핑계로 집으로 오는 경우가 많았다. 인간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27, 28살은 성장의 최정점에 도달한 나이일 것이다. 가장 컨디션이 좋고 에너지가 넘치는 그 시간. 운동선수라면 최고의 기량을 펼치는 전성기. 그 시절이 전성기인지도 모르게 그렇게 지나갔다.
자주 눈물이 났다. 어렸을 땐 눈물이 많은 편이었지만 커서 운 적은 손에 꼽는데... 특히 가족 생각에 그랬다. 아빠도 이렇게 일하셨을까? 넉넉하지 못한 집에서 홀로 은행에 입사하셔서 30년을 일했던 우리 아빠. 중학교에 갈 돈이 없어서 할머니 할아버지는 공장에 들어가라고 했지만 공부가 하고 싶어서 신문배달을 하며 결국 1년 늦게 중학교에 들어가 공부했다는 아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도 친구들은 대학에 가는데 취업을 해야 했기에 은행을 택해 자신의 가족을 돌본 아빠.
어렸을 때 아빠에 대한 기억은 그리 좋지 않았다. 쉬는 날이면 항상 누워서 주무시는 경우가 많았고 항상 원칙적인 말씀만 하시기에 대화가 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뭘 하자고 하면 가기 싫다고 하고 옷은 항상 동묘시장에서 구입해서 입으시는 아빠였다. 크면서 운동을 좋아하고 활동적인 나와달리 책 읽기를 좋아하는 아빠를 이해할 수 없었고 남자답지 못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항상 공무원이 되라고 말씀하셨는데 나는 기업에 들어가서 크게 일할 거라며 남자답지 못하게 공무원은 절대로 되지 않겠다고 앞에서 말했던 지난날이 생각났다. tv를 보면 역사스페셜과 세계테마여행만 보시고 밥을 먹을 땐 꼭 tv를 꺼야 했던 시절. 우리 아빠는 왜 저러냐며 마음속에 원망으로 가득 차 있었다. 나는 시공사에 들어갈 것이고 독립해서 자유롭게 지낼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던 내가 부끄러웠다.
'아빠도 이런 기분이셨을까...?'
'이런 속마음을 누구한테 얘기할 수나 있었을까?'
'하 이런 게 인생인가...'
주말에 혼자 집에 있을 때면 그런 생각에 자주 눈물이 났다. 그리고 지난 세월이 이해됐다. 나에게 공무원이 되라고 말씀하신 이유가 있었구나... 주말에 집에서 누워계셨던 이유가 있었구나... 나한테 노자 이야기를 매일 아침마다 해주신 이유가 이거였구나... 하나하나가 모두 이해됐다. 천지불인이었다.
몇 번을 그렇게 울었는지 모르겠다. 몇 년간은 가끔씩 그랬던 것 같다.
그러던 2010년 9월 브레드피트 주연의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집에서 볼 기회가 있었다. 개봉은 2월에 해서 이미 여자친구랑 본터라 큰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그냥 시간이나 때울 겸 다시 보게 되었다. 다 아는 내용이라 가볍게 보기 시작했는데 이상하게 영화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러다 브레드 피트가 자녀에게 쓴 편지를 독백하는 장면이 영화 후반부에 나오는데 그 대사의 단어 하나하나가 가슴을 후벼 파는 게 아닌가. 브레드피트가 젊어지기에 인도로 떠나고 그곳에서 느낀 점을 딸에게 써준 편지였다. 그때의 나를 위로해 주고 나를 보듬어주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동에 정말이지 펑펑 울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나의 상태에 대해 알고 있는 보이지 않은 그 무언가가 나를 도와주기 위해 그 장면을 내보낸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To be whoever you want to be
There's no time limit.
Start anytime you want.
Change or stay the same.
There aren't any rules.
We can make the best or worst of it.
I hope you make the best
I hope you see things that starle you.
Feel things you never felt before.
I hope you meet people who have a different point of veiw.
I hope you challenge yourself.
I hope you strumble, and pick yourself up.
I hope you live the life you wanted to and
If you haven't, i hope you start all over again.
해석은 각자에게 맡기겠다. 이 대사의 여운은 15년이 지난 지금도 내 가슴에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그리고 이 문구는 그 당시 다이어리 맨 뒷 장에 쓰고 매일같이 반복해서 읽었다. 마음속으론 '00아 괜찮아. 00아 괜찮아'를 속삭이면서...